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002. <Chapter 02> 분석의 기본요소. 양적요소와 질적요소 (작성중)
    Security Analysis 를 위한 2019. 10. 11. 13:31

    증권분석 질문은 본질적으로 "T시점에 투자자 I가 S증권을 P가격에 사야(팔아야, 계속 보유해야)하는가?"를 묻는 것이다. 이로부터 증권분석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4대 기본 요소를 추려 낼 수 있는데 중요한 것부터 차례대로 다음과 같다.

    1. 증권
    2. 가격
    3. 시점
    4. 사람

    -

    1. 증권
    (1) 어떤 기업
    (2) 어떤 조건
    매우 건전한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라도, 투자 조건은 불건전하고 불리해질 수 있다. 1929년 직전까지 가치가 장기간 상승한 미국의 도시 부동산으로 인해 당시 사람들은 도시 부동산이 가장 안전한 투자대상이라고 간주하게 되었다. 그러나 1929년 뉴욕시 부동산개발 우선주는 이렇게 건전한 기업(가치가 장기간 상승한 부동산)임에도 발행된 우선주의 투자 조건이 지극히 불리한 예이다. 그 발행 조건은 아래와 같다.

    발행 조건 : 우선주(따라서 원금비보장), 비누적적, 1순위 담보채권보다 후순위, 현금을 투자하지 않는 보통주(후순위 자본이 없음)
    증권의 지위 : 투자하는 새 빌딩은 건축원가가 지극히 높으며, 문제가 생기면 뒤를 받쳐줄 적립금과 후순위 자본이 없다.
    발행 가격 : 액면가 기준 배당수익률 6%로서 2순위 담보 채권의 수익률보다 훨씬 낮았다.

    이 밖에도 여러가지 불건전한 증권의 예는 수없이 존재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1932년 에 60에 거래된 '브루클린 유니언 고가철도 1순위 담보채권' 5% 만기 1950년이 있다. 이 채권은 당시 만기수익률이 9.85%였다. 그러나 그 때의 사람들은 전기철도산업을 자동차와 경쟁해야하며, 요금에 대한 규제가 있었기에 오랜 기간 비관적으로 생각했다(매력없는 기업). 그러나 발행된 1순위 담보채권의 발행 조건은 충분히 만족스러웠는데 그 발행 조건은 아래와 같다.

    발행 조건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