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 Analysis 를 위한

001. <Chapter 01> 증권분석의 범위와 한계. 내재가치의 개념 (작성중)

서익경 2019. 10. 11. 02:28

*투자 아이디어가 될 만한 문구는 빨간색 볼드체로 표기하고 제 나름의 해설은 따로 해설이라고 표시하겠습니다.


투자는 자연현상을 관찰하는 과학과는 다르게 사회의 여러 통제할 수 없는 변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엄밀히 말해서는 과학이 아닌 것이다. 차라리 법률이나 의학처럼 개인의 기술과 운이 성패를 좌우하는 분야와 유사하다. 그렇더라도 분석이 유용한 것은 자명한 진리이다. 투자와 투기 역시 기술과 운이 성패를 좌우하는 분야이며 분석이 유용한 것 역시 일맥상통한다.

증권분석의 기능
1. 설명기능 - 증권에 관한 중요한 사실들을 정리해서, 이해하기 쉽도록 조리 있게 설명해주는 기능
2. 선별기능 - 설명기능에 따른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 판단을 제시하는 기능

증권분석의 사례
철도회사 표면금리 6% 비누적적 우선주가 가격 100에 대규모로 공모되었다. 이 회사의 실적은 이익고정비(이자비용)와 우선주 배당금 합계액의 1.5배 이상이었던 적이 한 번도 없었다.
- 해설 : 비누적적 우선주는 배당금 누적이 되지 않는 형태의 우선주이다. 가격 100에 공모된 6% 표면금리의 우선주이므로 연간 6달러의 현금흐름을 기대하고 투자하게 된다. 그러나 이익이 이자비용과 우선주배당금 합계의 1.5배 이상이었던 적이 한 번도 없었다는 것은 우선주배당금과 이자비용 합계액의 절반도 채 되지 않는 금액만이 보통주배당되고 적립금으로 남게된다는 것이므로 굉장히 위험한 경우가 되는 것이다.

글라스 회사의 표면금리 5% 7년 만기 채권을 만기수익률 11%인 70에 구매 가능하며 이 회사는 극심한 침체기에도 이익이 고정비보다 몇 곱절 많았다. 회사의 유동자산만으로도 채권을 충분히 상환할 수 있었으며, 주가가 낮을 때에도 보통주와 우선주의 시가총액 규모가 막대했다.
-해설 :